한국다중지능적성연구소

본문 바로가기
mo_menu_icon mo_menu_close_icon
지문학의 발전사home_iconicon지문학icon지문학의 발전사 "지문은 단순한 문양이 아닌 과학의 산물이다." 피문학(Dermatoglyphics)이라는 말은 손가락과 손바닥, 그리고 발바닥의 무늬 및 융선에 대한 과학적 연구 분야를 지칭하는 것으로 이미 약 400년 전부터 구미각국에서 다양한 분야의 연구가 이뤄져왔다.
지문은 손가락의 피부능선으로 이루어진 구조이며 손바닥의 피부능선으로 이루어진 구조를 손바닥(장문)이라고 하는데, Cummins(1926)는 지문과 손바닥문(장문)을 묶어서 피문학(Dermatoglyphics)이란 이름을 붙였다(Naffah, 1977).
피부능선의 역할은 물건을 잡을 때, 미끄러지지 않게 하는 것이며(Holt, 1973) 피부능선을 조직학적으로 보면 밑에 있는 진피유두와 평행하게 연결되어 있고, 땀샘관이 많이 열려 있으나 털과 기름샘이 없으며 신경 끝이 많기 때문에 닿는 느낌이 예민하다(Penrose, 1963, Holt, 1973).
지문은 한 사람의 독특한 특징을 규정지어 주는 아주 중요한 요소로 생각 되어 왔다.
도와 중국에서는 오랜 역사동안 지문을 인간의 특성과 태도에 대한 지침으로 사용했으며 특히, 질병과 관련된 논의가 상당히 많이 진척이 되었다.
임상병리학적인 영역에서는 많지는 않지만 여러 연구가 진행되어서 지문과 병의 상관성에 대한 보고들이 있음을 알 수는 있지만 Hutchinson, Jargers, Hoffman, Webster, Jaquin 등이 한 역구와 조사 같은 임상심리학적 연구가 국내에서는 아직 그렇게 많이 진행된 것은 아니다.

현재까지 피문학은 유전학, 체질인류학, 임상병리학, 정신분열증, 다운증후군에 관련된 연구, 자폐아에 관련된 연구, 개인 식별 등으로 적용분야가 넓혀져 왔으며, 심리적 특성에 대해서도 많은 연구가 있었다. 아래는 각 부분의 피문학 관련 연구논문을 간략히 정리한 것이다.

체질인류학 손바닥문(장문)은 유전병과 민족에 따라서 특이하기 때문에 유전병을 진단하거나 여러 민족의 체질인류학적 특성을 밝히는 데에도 이용된다.
이와 같이 손바닥문(장문)은 이용 가치가 높기 때문에 그 생김새를 객관적으로 분석하는 방법이 여러 가지로 개발되었고, 그 방법에 따라 많은 민족을 대상으로 조사된 바 있다.
하지만 한국에서는 그 연구가 극히 제한적으로 실시되었다.
홍해숙 및 주강. 한국인 Down 씨 증후군의 피문에 관하여. 대한해부학회지. 16. 223~231, 1983. 이춘화, 주강 및 홍해숙. 두 씨족의 지문의 특징과 유전성에 관하여. 대한해부학회지. 19. 77~89, 1986. 장유진. 조선사람의 기원. 사회과학출판소, 1986, pp3-3~307 등에서 연구되었디.

임상병리학 임상병리학적인 분야에서는 상대적으로 많은 연구들이 국내외에서 진행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피문학의 의학적인 응용은 1936년 Cummins 등이 Down'w syndrome 환자의 것과 정상인의 비교에서 많은 차이를 발견하여 보고한 이후부터 였다.
특히 Walker는 쌍생아와 부모 사이에는 피문의 양상이 거의 비슷한 상관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하였으며 한 가족 사이에서도 유의한 관계가 있다고 보고하였다.
또 Holt는 성에 따라서 지문 모양이 다르게 나타나며 융선 수는 남자가 여자보다 많은 수를 보이며 남녀가 동일한 모양의 지문일지라도 융선 수는 다르므로 개인을 식별하는데 도움을 준다고 하였다.

유전학 "자폐아 부모와 그들의 가족의 피문학적 특징에 대한 유전학적 구성요소의 역할에 대한 연구" 손가락과 손바닥의 지문이 120명의 자폐아에서 체취외었다.
그 중 92명은 남성이고 28명은 여성이다. 그리고 그들의 부모 중 92명은 어머니, 70명은 아버지이다. 또한 32명의 건강한 형제와 28명의 건강한 자매들이 선발되었다.
그리고 통제집단으로 겅간한 400명이 선발되었는데 남자는 200명이고 여자도 200명이다.
손가락의 융선 수와 손바닥의 a-b, b-c, c-d 융선 슈와 ATD 각이 피문학적 양적특징 문석이 실시되었다.

자폐아 아동의 실험집단과 그들의 가족 구성원과 건강한 사람들의 가족구성원들과 성별에 따라 구분한 통제집단의 다변량 분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자폐아 여성은 넛째손가락과 다섯째손가락의 융선 수와 a-b 융선 수, 그리고 양손 ATD 각도에서 건강한 통제집단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자폐아동의 건강한 아버지는 ATD 각도에서 자폐아의 남자형제들은 손바닥의 모든 변수에서 건강한 통제집단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자폐아동의 어머니는 첫째, 넷째, 다섯째손가락의 융선수와 손바다의 a-b, c-d의 융선 수와 양손의 ATD 각에서도 통제집단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판별분석에서는 앞의 두 판별함수가 전체의 85.4%의 변량을 설명하고 이 두 함수에 따라 그룹을 나눌수 있다.
첫번째 함수는 자폐아 아동의 가족 구성원과 건강한 통제집단을 구분한다. 그리고 두번째 함수는 남성과 여성을 구분할 수 있다.
가족간의 분석은 남성 자폐아와 그들의 어머니와 아버지가 모든 변수에서 집단 간 상관이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적성평가 인간의 신체를 해부하지 않고 신체의반응이나 신체적 특징 등을 관할하여 개개인의 뇌 구조의 차이를 규명하고자 많은 노력을 해오고 있습니다.
최근 지문의 형태를 통하여 뇌의 비밀을 풀어내는 방법이 활발하게 진행되어 개개인의 선천적인 성격이나 잠재되어 있는 지능의 우월 순위까지 찾아내어 과학적인 교육방법을 제시 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이를 유적적 형질인 지문을 통한 적성검사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이는 과학적인 평가 도구로 서로 다른 무늬의 모양에서 사람마다의 선천적으로 타고난 뇌 구조의 차이를 지문을 통해 규명하고, "다중지능 이론"을 접목시켜 개인의 우월순위를 파악하며 강점이 지능을 적극 계발하고 약한 부분은 어떻게 보겅 할 것인가를 측정하는 것으로 아동기 때부터 정확한 분석을 통하여 학습능력을 향상시키고 많은 사람들이 갈등하는 진로 방향을 정확하게 인도해 주는 매개체로 높은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또한 자신도 모르는 잠재능력을 파악하여 인생의 밑거름이 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입니다.
한국다중지능적성연구소연구소 : 대전광역시 서구 둔산대로 117번길 44, 211호
E-mail kmif8@naver.com사업자번호 : 314-17-74428
© 2006 한국다중지능적성평가원 / 한국다중지능적성연구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