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다중지능적성연구소

본문 바로가기
mo_menu_icon mo_menu_close_icon
8가지 다중지능home_iconicon다중지능icon8가지 다중지능 "창의성은 사람의 능력보다는 성격이나 기질과 관련이 있다." 가드너가 처음 제시한 인간의 능력은 음악적 능력(Musical Intelligence), 신체-운동학적 지능(Bodily-Kinesthetic Intelligence), 논리-수학적 지능(Logical-Mathematical Intelligence), 언어적 지능(Linguistic Intelligence), 공간적 지능(Spatial Intelligence), 대인관계 지능(Interpersonal Intelligence), 그리고 자기이해 지능(Intrapersonal Intelligence)이 었다.
그리고 아직은 초기 단계에 있는 다중지능 이론이기에, 그 이외에 있을 수 있는 다른 지능을 결코 배제하지는 않았다.
최근에는 여덟번째 지능인 자연탐구 지능(Naturalist Intelligence)을 제기하기도 했지만, 아직 널리 인정되지는 않았다.
지금까지 널리 알려진 여덟가지 다중지능을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음악 지능(Musical Intelligence) 음악적 지능에 대해서 가드너는 바이올리니스트 Yehudi Menuhin을 좋은 예로 들었다.
Menuhin은 세살때, 그의 부모와 함께 미국 San Francisco Orchestra 음악회에 참석하였다.
Louis Persinger의 바이올린 소리에 감동되어, 그는 그의 생일 선물로 바이올린을 사줄 것과 Louis Persinger를 자기 교사로 해달라고 부모를 졸랐다.
그는 둘 다 가질 수 있었고, 그가 열살이 되던 해에 이미 국제적인 연주가가 되어 있었다.
Menuhin처럼 음악적 지능이 뛰어난 사람은 소리, 리듬, 진동과 같은 음의 세계에 민감하고, 사람의 목소리와 같은 언어적인 형태의 소리뿐만 아니라 비언어적 소리에도 예민하다.
예를 들어, 발자국 소리만으로도 누가 오고 있는지를 알아내는 사람은 음악적 지능이 높다고 하겠다.
또한 음악의 형태를 잘 감지하고, 음악적 유형을 잘 구별할 뿐만 아니라 다른 음악 형태로 변형시키기도 한다.
이런 아이는 Menuhin처럼 악기 연주를 좋아하고 작고하는 것을 좋아한다.
단순히 음악이나 리듬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소리의 전체를 다루기 때문에 청각-진동적인 지능(auditory/vibrational intelligence)라고 부르기도 한다.

2. 신체-운동학 지능(Bodily-Kinesthetic Intelligence) 신체-운동학적 지능은 가드너의 지능들 중에서 가장 논란이 많이 되는 것으로 사람마다 자신의 운동, 균형, 민첩성, 태도 등을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을 가졌다고 본다.
농구선수 허재, 야구선수 박찬호, 축구선수 황선홍 등과 같은 유명 운동선수들은 신체-운동적 지능에 강하고, 이러한 유명 운동선수들의 지능은 선수가 되기 이전부터 이미 나타났다고 가드너는 주장한다.
유명 운동선수들은 어떻게 몸을 움직여야 하고 어떻게 반사적인 행동을 해야 하는지에 대한 타고난 감각을 가졌다고 한다.
신체-운동학적 지능이 높은 사람은 생각이나 느낌을 글이나 그림보다는 몸 동작으로 표현하는 능력이 뛰어나다.
가수들은 노래할 때 병행하는 율동을 쉽게 따라하거나 레크리에이션 등에서 하는 무용, 연극 등을 잘한다.
또, 손으로 다루는 능력이 뛰어나 손재주가 있다는 말을 많이 듣는다.
자동차 운전은 물론 스케이트나 자전거를 다른 사람보다 쉽게 배운다든지 나무를 잘 타고 오르는 능력이 있다.
즉 몸의 균형 감각과 촉각이 다른 사람들에 비해 발달되어 있다.

3. 논리-수학 지능(Logical-Mathematical Intelligence) 논리-수학적 지능은 기존 지능의 핵심으로 간주되어 왔고, 유럽 학자들은 인지적 능력으로서 가장 중요시하였다.
또, 다중지능 이론에서도 가장 중심에 위치한다 하겠다.
논리-수학적 지능은 논리적 문제나 방정식을 풀어 가는 정신적 과정에 관한 능력으로 때에 따라서 언어 사용이 요구되지 않는 지능이다.
논리-수학적 지능이 높은 사람은 논리적 과정에 대한 문제들을 보통 사람들보다 훨씬 빠른 속도로 해결하는 능력을 갖고 있다.
추론을 장 이끌어 내며, 문제파악을 주먹구구식이 아닌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방법을 동원한다.
숫자에 강하고, 차량번호나 전화번호 등도 남들에 비해 잘 기억하는 경우가 많다.

4. 언어 지능(Linguistic Intelligence) 언어적 지능은 단어의 소리, 리듬, 의미에 대한 감수성이나 언어의 다른기능에 대한 민감성 등과 관련된 능력이다.
오래 전부터 사람들은 언어와 두뇌와의 관계에 대해 관심을 가져왔다.
어떤 사람의 두뇌에 브로카의 영역(Broca's Area)이라고 부르는 부분이 손상되면, 비록 그 사람의 단어나 문장 인식의 능력은 그대로 남아있다 할지라도 자신을 표현하는데 있어서 문법적으로 정확한 문장을 만드는데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알려졌다.
가드너는 유아나 청각장애자들도 자기 나름대로의 독특한 언어를 계발하기 시작한다고 말하고 있다.
언어적 지능이 높은 사람은 토론 학습 시간에 두각을 나타내며, 유머나 말 잇기 게임, 낱말 맞추기 등을 잘한다.
다양한 단어를 잘 활용하여 말을 잘하는 달변가가 많으며, 똑같은 글을 써도 심금을 울리기도 하고, 웃음을 자아내기도 한다.

5. 공간 지능(Spatial Intelligence) 공간적 지능은 시공간적 세걔를 정확하게 인지하는 능력과 건축가, 미술가, 발명가 등과 같이 3차원의 세계를 잘 변형시키는 능력이다.
공단적 지능은 색깔, 선, 모양, 형태, 공간, 그리고 이런 요고들 사이의 관계에 대한 민감성과 관련 있다.
신경과학에 의하면, 인간 두뇌의 우측반구가 공간적 지능에 관련되어 있으며, 공간적 지능은 시각 능력과 관계가 깊은 것으로 알려졌다.
공간적 지능이 높은 사람은 밤하늘의 별을 보고 방향을 잘 찾아내며, 처음 방문한 곳도 다시 찾아가는 데 별 어려움을 느끼지 않고 잘 찾아간다.
또, 시공간적 아이디어들을 도표, 지도, 그림 등으로 잘 나타내고,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디자인, 그림 그리기, 만들기 등을 좋아한다.

6. 대인관계 지능(Interpersonal Intelligence) 대인관계 지능은 다른 사람들과 교류하고, 이해하며, 그들의 행동을 해석하는 능력이다.
다른 사람들의 기분, 감정, 의향, 동기 등을 인식하고 구분할 수 있는 능력과 얼굴 표정, 음성, 몸짓 등에 대한 감수성, 대인관계에서 나타나는 여러 가지 다양한 힌트, 신호, 단서, 암시 등을 변별하는 역량, 또 이들에 효율적으로 대처하는 능력이다.
대인관계 지능이 뛰어난 사람은 친구들을 많이 사귀고, 교우도(socio-gram)에서 중앙에 위치한다
유능한 정치인, 지도자, 또는 성직자들은 대인관계 지능이 우수한 사람들이 많다.

7. 자기이해 지능(Intrapersonal Intelligence) 자기이해 지능은 대인관계 지능과 유사한 특성을 지녔으며, 자기자신을 이해하고, 느낄 수 있는 인지적 능력을 말한다.
자신이 누구인가?, 자신은 어떤 감정을 가졌는가?, 왜 이렇게 행동하는가? 등과 같은 자기 존재에 대해 이해하는 것이다.
화를 내거나 기쁨을 표현하는 무형의 것이 있는가 하면, 시나 그림으로 표현하는 유형의 것들과 같은 어떤 형태로 나타나지 않은 한 자기이해 지능은 인식하기가 힘들다.
자기이해 지능이 높은 사람은 자기 존중감, 자기 향상(self-enhancement), 자기가 처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성격이 강하다.
하지만, 자기이해 지능이 낮은 사람들은 자신을 주변환경으로부터 독립된 존재로서 인식하는데 어려움을 겪는다.

8. 자연탐구 지능(Naturalist Intelligence) 자연탐구 지능은 다중지능 이론의 목록에서 가장 최근에 올라온 것으로, 자연 현상에 대한 유형을 규정하고 분류하는 능력을 말한다.
원시 사회에서는 어떤 식물이나 동물이 먹을 수 있는지를 그들의 자연탐구 지능에 의존하여 알아냈다.
현대 사회에서는 기후 형태의 변화에 대한 감수성과 같은 것을 자연탐구 능력을 잘 나타내주고 있다.
자연탐구 지능이 높은 사람은 영화에 나오는 타잔처럼 자연 친화적이고, 동물이나 식물 채집을 좋아하며, 이를 구별하고 분류하는 능력이 높다.
산에 가더라도 나뭇잎이나, 크기, 지형 등에 관심이 많고, 이들을 종류대로 잘 분류하기도 한다.

가드너는 위에서 제시한 여덟 가지와 실존적 지능 외에도 많은 지능이 있을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새롭게 제기 될 수 있는 지능들을 살펴보면(Armstrong, 1994): 영성(spirituality), 도덕적 감수성(moral sensibility), 성적 관심(sexuality), 유머(humor), 직관(intuition), 창의적(creativity), 요리능력(culinary (cooking) ability), 후각능력(olfactory perception (sense of smell)), 타 지능을 분석하는 능력(an ability to synthesize the other intelligences) (p.13) 등이다.
한국다중지능적성연구소연구소 : 대전광역시 서구 둔산대로 117번길 44, 211호
E-mail kmif8@naver.com사업자번호 : 314-17-74428
© 2006 한국다중지능적성평가원 / 한국다중지능적성연구소 ALL RIGHTS RESERVED.